입학 및 학사
>입학 및 학사>졸업이수조건
교육과정이란 학위취득을 위하여 학과(전공)별로 학생이 이수하여야 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교양과정과 전공과 전공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음
구분 | 역량 | 교과목명 | 이수학점(시간) | 개설학년/학기 | 비고(전 재학생 참고사항) |
---|---|---|---|---|---|
공통교양 | 사고와표현 | 대학글쓰기 | 3(3) | 1학년 1, 2 | 2019학년도 이전 “사고와표현”과 동일, 과학기술대학(화학과, 생명과학부)은 별도운영(2학년 1,2학기 이수) |
명저읽기 (인문/사회/자연) |
3(3) | 1학년 1, 2 | 대학별 인문/사회/자연 분반 중 택1, 과학기술대학(화학과, 생명과학부)은 별도운영(2학년 1,2학기 이수) | ||
세계시민 | 한국과세계소통의역사 | 2(2) | 1학년 1, 2 | 과학기술대학(신소재/식공/에너지/경공),생명공학대학(제약)은 해당없음 | |
대학영어1 | 3(3) | 1학년 1 | 2019학년도 이전의 글로벌핵심영어1과 동일(의예/치의예/약학 제외) | ||
대학영어2 | 3(3) | 1학년 2 | 2019학년도 이전의 글로벌핵심영어2과 동일(의예/치의예/약학 제외) | ||
제2외국어 | 3(3) | 2학년 1, 2 | 외국어대학만 필수 이수(주전공 언어 제외) | ||
종합적사고 | 창의적사고와코딩 (계열명) |
2(2) | 1학년 1 | 과학기술대학(신소재/식공/에너지/경공),생명공학대학(제약), 해당없음과학기술대학(수학/물리/화학/식품영양/생명과학부)은 별도운영 (1학년 2학기 이수) | |
자원·정보·기술활용 | 대학기초SW입문 (계열명) |
2(2) | 1학년 2 | 과학기술대학(신소재/식공/에너지/경공),생명공학대학(제약), 의예과는 해당없음과학기술대학(수학/물리/화학/식품영양/생명과학부)은 별도운영 (2학년 1학기 이수) | |
전공별AI활용 (계열명) |
2(2) | 2학년 1, 2 | 과학기술대학(신소재/식공/에너지/경공),생명공학대학(제약)은 해당없음 | ||
자기관리 | 진로설계와자기계발 | 2(2) | 1학년 1, 2 | 의/치/간호/공공보건(해병대/임상병리/물리치료/치위생)은 해당 없음 | |
사회봉사 | 0 | 학기 중 | 0학점 비교과과정, 미이수 시 졸업 불가함ㆍ32시간(현장봉사 + 온라인특강) 이수(전 재학생 해당)ㆍ사회봉사 온라인특강 중 1강좌(2시간) 이상 필수이며,3회(6시간)까지 인정함(2011 이전 입학자도 적용 가능) | ||
소계 | 22학점 (외국어대학 25학점, 해병대/간호/임상병리/물리치료/치위생 20학점, 치의예/약학/과학기술대학(신소재/식공/에너지/경공)/생명공학대학(제약) 14학점, 의예과 12학점) |
||||
영역별교양 | 문학/역사/철학 | 3 | 1, 2학기 | 5개 영역 중 주전공계열과 동일 또는 유사계열영역 제외한4개 영역 각 1과목씩 12학점 이상 이수ㆍ켐바이오 이학인증과정 폐지에 따라 화학과 및 생명과학부 영역별교양 이수학점은 12학점으로 변경됨ㆍ의예/치의예/간호/과학기술대학(신소재/식공/에너지/경공)/ 생명공학대학(제약)/공공보건과학대학(임상병리/물리치료/보건행정/치위생)/약학과는 주전공계열과 동일또는유사계열영역 제외한4개영역 중 2개영역 각 1과목씩 6학점 이상 이수 | |
정치/경제/사회·심리 | 3 | ||||
수학/물리/화학/생물 | 3 | ||||
자연/환경/기술 | 3 | ||||
문화/예술/체육 | 3 | ||||
소계 | 12학점이상 (의예/치의예/간호/과학기술대학(신소재/식공/에너지/경공)/생명 공학대학(제약)/공공보건과학대학(임상병리/물리치료/보건행정/치위생/약학과 6학점 |
||||
교양합계 | 34학점이상 (외국어대학 37학점, 해병대 32학점, 보건행정 28학점,임상병리/물리치료/ 치위생/간호 26학점, 치의예/과학기술대학(신소재/식공/에너지/경공)/ 생명공학대학(제약) /약학과 20학점, 의예과 18학점) |
||||
전공소양 | DK로드맵 | 1 | 1학년 1 | 신설교과 | |
학부(과)기초/융합 | 일반학과(전공) | 12~18 | 1학년 | 과학기술대학(신소재/식공/에너지/경공)/생명공학대학(제약)은 공학소양 및 공학기초로 대체함 | |
사회복지, 간호, 물리치료, 치위생 |
12 | ||||
임상병리 | 16 | ||||
태권도 | 14 | ||||
과학기술대학 (화학과,생명과학부) |
21~36 | ||||
전공필수/선택 | 최소전공과정 | 42 이상 | 1~4학년 | 과학기술대학(신소재/식공/에너지/경공)은공학전문교육과정 및공학일반교육과정을 69학점으로 운영함 | |
심화전공과정 | 63 이상 | ||||
졸업요구학점 | 130학점 이상(대학/학과별 졸업요구학점) |
(졸업인증제 기준)
종류 | 세부기준 | 제출서류 | 비고 |
---|---|---|---|
공인영어 |
우리 대학에서 인정하는 공인영어 취득 성적이 기준점수 이상인 자 ※캠퍼스별 공인영어기준표 참조 |
① 졸업인증신청서 1부. ② 공인영어성적표 1부. |
공인외국어 성적표는 제출일 기준으로 2년 이내 취득한 유효기간이 경과 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인정 |
공인중국어 | 중국 한어 수평 고시(HSK) 3급 180점 이상 |
① 졸업인증신청서 1부. ② 공인영어성적표 1부. |
|
공인일본어 | JPT 550점 / JLPT N2등급 이상 |
① 졸업인증신청서 1부. ② 공인영어성적표 1부. |
|
해외연수 |
해외어학연수 또는 국외대학 교류학생으로 수학하여 학점을 이수한 자 다만, 해외어학연수는 3학점 이상 학점 인정에 한하여 적용함 |
학점이수자 자동 처리(제출서류없음) ※ 인정국가에서 학점이수 하였으나 미반영된 학생은 아래 서류를 제출 ① 졸업인증신청서 1부 ② 해외어학연수(또는 국외대학 교류학생) 학점인정 신청서 1부 ③ 출입국사실증명서 1부 |
인정국가 참조 |
해외인턴십 | 해외에서 인턴십을 이수하고 12학점 이상 인정받은 자 |
① 졸업인증신청서 1부. ② 해외인턴십 학점인정확인서 1부. ③ 출입국사실중명서 1부. |
|
해외임상실습 | 해외 병원에서 2주 이상 임상실습을 하고 학점을 인정받은 자 |
① 졸업인증신청서 1부. ② 해외병원 임상실습 확인서 1부. ③ 출입국사실중명서 1부. |
|
해외봉사 | 1주(40시간)이상 해외봉사를 수행한 자. 다만, 2016년 2월 말까지 활동한 사항만 인정하고, 2016-1학기 부터 제외 |
① 졸업인증신청서 1부. ② 해외봉사확인서 1부 (봉사지역,기관,활동내용, 기간[시간]등 필히 명기) ③ 출입국사실증명서 1부. |
|
해외학술탐방 | 2주 이상 해외학술탐방 활동을 한 자. 다만, 2016년 2월 말까지 활동한 사항만 인정하고, 2016-1학기 부터 제외 |
①졸업인증신청서 1부. ②해외학술탐방 확인서 1부. ③출입국사실증명서 1부. |
|
영어원어강의 | 전공 교과목 중 영어원어강의를 2강좌 이상 이수한 성적이 A학점 이상인 자 |
① 졸업인증신청서 1부 ② 영어원어강의 확인서 1부 |
전공세미나 제외 |
(입학년도별 공인영어 기준표)
입학자구분 | 대학구분 | TOELC | TOELC Speaking |
TEPS | TOEFL | OPIc | 비고 | |
---|---|---|---|---|---|---|---|---|
기존 | New TEPS | IBT | ||||||
2013학년도 입학자부터 |
스포츠과학대학 (국제스포츠 제외) |
400 | 90(Level 4) | 340 | 180 | 40/td> | IL(2단계) |
(조치사항)
입학년도 | 교양과정 | 전공과정 | 개설학점 (학과기초+전공) (DK로드맵 제외) |
웅비과정(개설) | 필수이수학점 | 졸업이수학점 | ||||||
---|---|---|---|---|---|---|---|---|---|---|---|---|
공통과정 | 영역별교양 | 전공소양 | 전공필수 | 전공선택 | ||||||||
DK로드맵 | 학부(과)기초 | 최소 | 심화 | 개설 | ||||||||
2022학년도 | 22 | 12 | 1 | 18 | 18 | 24+ | 45+ | 54 | 90 | 40+ | 118 | 130 |
2021학년도 | 22 | 12 | 1 | 18 | 18 | 24+ | 45+ | 54 | 90 | 40+ | 118 | 130 |
2020학년도 | 22 | 12 | 1 | 18 | 18 | 24+ | 45+ | 54 | 90 | 40+ | 118 | 130 |
졸업 인증제 도입을 통해 스포츠경영학과 학생들의 실기 및 실무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졸업 인증을 받고자 하는 학생은 실기 및 졸업인증 가산점 관련 증빙 자료, 이력서가 포함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전공실기 평가가 끝나는 7학기 재학 중 학과가 지정한 날에 제출한다.
전공실기 및 실무역량 가산점 종합 70점 이상, 편입생의 경우 55점 이상 획득한 학생에 한하여 졸업인증 기준을 통과한 것으로 간주한다. 전공실기 최저 기준 점수(20점) 획득은 졸업 인증 필수로 정한다.
4학년 1학기까지 최소 7학기(응시학기 포함), 편입생의 경우 최소 3학기, 전과생의 경우 전과 시점부터 졸업실기 시점까지의 해당 학기 동안 주 2회 전공운동 참여를 필수로 하며, 참여하지 않은 학생의 경우 전공실기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전공실기 시험에 응시하지 않은 학생의 경우 졸업인증에 불합격 처리 되며, 졸업논문 대체 또한 불가능하다.
기준 점수(실기 최저 점수 기준 포함)를 충족시키지 못한 경우 졸업논문으로 대체한다. 단, 실기시험에 응시한 학생에게만 졸업논문으로 졸업인증을 대체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졸업논문은 졸업학기에 학과에서 별도로 정하는 날에 제출한다.
졸업논문은 졸업인증을 통과하지 못한 학생에 한해서 추가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실기고사 미 응시자에게는 자격이 주어지지 않는다. 단, 부득이 한 경우 학과교수회의에서 심의 후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논문지도교수는 상담지도교수가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교수 간 사전 협의를 통해서 변경할 수 있다.
논문심사위원은 지도교수 포함 2인이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논문심사는 1회에 한하여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심사위원의 판단에 따라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추가로 할 수 있다.
전공실기 및 실무역량 가산점 종합 70점 이상 획득한 학생에 한하여 졸업인증 기준을 통과한 것으로 간주한다. 전공실기 최저 기준 점수(20점) 획득은 졸업 인증 필수로 정한다. 전과한 학기로부터 졸업실기 응시 해당 학기까지 전공실기에 참여한 학생에 한하여 시험 응시 자격이 주어지며, 매 학기 전공실기 출석률은 반드시 80% 이상이어야 한다.
편입생의 경우 전공실기 및 실무역량 가산점 종합 55점 이상 획득한 학생에 한하여 졸업인증 기준을 통과한 것으로 간주한다. 전공실기 최저 기준 점수(20점) 획득은 졸업 인증 필수로 정한다. 재학 중 3학기 동안 전공실기에 참여한 학생에 한하여 시험 응시 자격이 주어지며, 매 학기 전공실기 출석률은 반드시 80% 이상이어야 한다.
스포츠경영 복수전공자의 경우 100점 만점 전공실기에서 70점 획득을 졸업 인증 통과의 기준 점수로 정한다. 전공실기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4학년 1학기까지 최소 3학기 동안 주 2회 전공운동 참여를 필수로 하며, 전공실기 출석률은 반드시 80% 이상이어야 한다. 전공실기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의 경우 전공실기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복수전공자의 경우 졸업인증 가산점을 적용하지 않는다.
1항(관련 규정 제정의 배경)
2항(규정 내용)
스포츠경영학과 졸업실기 규정 요약
1. 신청기간 및 실시
2. 응시자격
3. 응시방법
4. 부칙